본문 바로가기

천주교 카톨릭

3월 세례명, 축일과 의미까지 정리!

3월에 축일을 지닌 천주교 성인·성녀들의 세례명 의미와 축일, 그리고 그들의 주요 생애와 상징성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3월 세례명

 

3월 축일에 따른 천주교 세례명

3월에 축일이 있는 성인과 성녀의 세례명을 나누어, 각 이름의 의미와 함께 정리합니다.

 

성인(남성) 세례명과 의미


다윗(David, 3월 1일)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이자 시편의 저자로, ‘사랑받는 자’라는 뜻을 지닙니다. 신앙과 용기의 상징입니다.

펠릭스(Felix, 3월 1일, 8일)
‘행복한’, ‘복된’이라는 뜻으로, 신앙인의 기쁨과 축복을 상징합니다.

마리노(Marino, 3월 3일)
‘바다의 사람’이라는 뜻으로, 인내와 견고함을 상징합니다.

안셀모(Anselm, 3월 3일, 18일)
‘하느님이 보호하신다’라는 의미로, 신뢰와 지혜의 상징입니다.

가시미로(Casimir, 3월 4일)
폴란드의 수호성인으로, ‘평화의 선언자’라는 뜻을 지닙니다.

루치오(Lucio, 3월 4일)
‘빛나는 자’라는 뜻으로, 신앙의 밝음과 희망을 상징합니다.

 



카르타고(Carthage, 3월 5일)
북아프리카의 주교 성인. ‘카르타고’는 도시명에서 유래하였으며, 교회의 일치와 신앙의 굳건함을 상징합니다.

테오필로(Theophilus, 3월 5일)
‘하느님을 사랑하는 자’, ‘하느님의 친구’라는 뜻입니다. 신앙의 친밀함을 상징합니다.

마르치아노(Marcianus, 3월 6일)
‘전쟁의 신 마르스에게 속한 자’라는 뜻으로, 용기와 힘의 상징입니다.

드라우시오(Drausius, 3월 7일)
‘강인한’, ‘용감한’이라는 의미로, 신앙의 인내와 용기를 상징합니다.

그레고리오(Gregory, 3월 8일, 9일)
‘깨어 있는 자’, ‘경계하는 자’라는 뜻으로, 영적 지도력과 지혜를 상징합니다.

파치아노(Pacianus, 3월 9일)

‘평화로운 자’라는 뜻으로, 온유와 화합의 상징입니다.

도미니꼬 사비오(Dominic Savio, 3월 9일)
젊은 순교 성인으로, ‘주님의 것’이라는 뜻입니다. 순수와 신앙의 열정을 상징합니다.

심플리치오(Simplicius, 3월 10일)
‘단순한’, ‘순수한’이라는 뜻으로, 겸손과 진실의 상징입니다.

 



베네딕토(Benedict, 3월 11일)
‘축복받은 자’라는 의미로, 신앙의 은총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막시밀리아노(Maximilian, 3월 12일)
‘가장 위대한’이라는 뜻으로, 신앙의 열정과 용기를 상징합니다.

루데리코(Ludovico, 3월 13일)
‘유명한 전사’라는 뜻으로, 신앙의 힘과 지도력을 상징합니다.

마르코(Marco, 3월 13일, 29일)
‘전쟁의 신 마르스에게 속한 자’라는 뜻으로, 용기와 신앙의 힘을 상징합니다.

즈카르야(Zacharias, 3월 15일)
‘하느님이 기억하신다’라는 뜻으로, 신실함과 희망의 상징입니다.

요셉(Joseph, 3월 19일, 20일)
예수님의 양부로, ‘하느님이 더해주신다’라는 뜻입니다. 신뢰와 보호, 가정의 수호를 상징합니다.

치릴로(Cyril, 3월 18일)
‘주님의 군사’라는 의미로, 신앙의 수호와 전파를 상징합니다.

루피치노(Lupicinus, 3월 21일)
‘늑대 같은’이라는 뜻으로, 용기와 인내의 상징입니다.

 



바오로(Paul, 3월 22일)
‘작은 자’라는 뜻으로, 겸손과 복음 선포의 상징입니다.

에바프로디도(Epaphroditus, 3월 22일)
‘사랑받는 자’라는 뜻으로, 신앙의 친밀함과 사랑을 상징합니다.

시메온(Simeon, 3월 24일)
‘(하느님이) 들으셨다’라는 뜻으로, 신앙의 기다림과 충실함을 상징합니다.

이레네오(Irenaeus, 3월 25일)
‘평화로운 자’라는 뜻으로, 신앙의 화합과 일치를 상징합니다.

아모스(Amos, 3월 31일)
구약의 예언자 이름으로, ‘짐을 지는 자’라는 의미입니다. 책임과 정의의 상징입니다.

 

 

성녀(여성) 세례명과 의미


안토니나(Antonina, 3월 1일)
‘귀한’, ‘가치 있는’이라는 의미로, 신앙의 소중함을 상징합니다.

에우도치아(Eudocia, 3월 1일)
‘선한 평판’, ‘명예로운’이라는 뜻으로, 덕과 명예의 상징입니다.

요안나 마리아 보노모(Jane Mary Bonomo, 3월 1일)
‘하느님은 은혜로우시다’라는 뜻의 요안나와 ‘마리아’의 결합으로, 신앙과 사랑의 상징입니다.

세쿤딜라(Secundilla, 3월 2일)
‘둘째’라는 뜻으로, 겸손과 순종의 상징입니다.

아녜스(Agnes, 3월 2일, 6일, 7일)
‘순수한’, ‘성결한’이라는 의미로, 순결과 헌신의 상징입니다.

안젤라(Angela, 3월 2일)
‘천사’라는 뜻으로, 순수와 하느님의 사자를 상징합니다.

야누아리아(Januaria, 3월 2일)
‘문’ 또는 ‘시작’이라는 의미로, 새로운 신앙의 시작을 상징합니다.

 



가타리나(카타리나, Catherine, 3월 3일, 9일, 24일)
‘순수한’, ‘깨끗한’이라는 의미로, 지혜와 신앙의 열정을 상징합니다.

데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체리(Teresa Eustochio Verzeri, 3월 3일)
예수 성심의 딸들 수도회 창립자. ‘데레사’는 ‘수확하다’, ‘에우스토키오’는 ‘좋은 곡식’이라는 뜻으로, 신앙의 열매와 사랑의 실천을 상징합니다.

아르텔라(Arthelais, 3월 3일)
‘높은’, ‘고귀한’이라는 의미로, 덕과 명예의 상징입니다.

카밀라(Camilla, 3월 3일)
‘젊음’, ‘봉사자’라는 뜻으로, 헌신과 사랑의 상징입니다.

쿠네군다(Cunegundes, 3월 3일)
‘용기 있는 전사’라는 의미로, 신앙의 용기와 헌신을 상징합니다.

플라치다(Placida, 3월 4일)
‘온화한’, ‘평온한’이라는 뜻으로, 평화와 자비의 상징입니다.

올리바(Oliva, 3월 5일)
‘올리브나무’에서 유래, 평화와 인내의 상징입니다.


바사(Bassa, 3월 6일)
‘용감한’, ‘강인한’이라는 의미로, 신앙의 용기와 인내를 상징합니다.

콜레타(Coleta, 3월 6일)
‘승리자’라는 의미로, 신앙의 승리와 헌신을 상징합니다.

페루페투아(Perpetua, 3월 7일)
‘영원한’이라는 뜻으로, 신앙의 충실함과 용기를 상징합니다.

 



펠리치타(Felicity, 3월 7일, 8일, 26일)
‘기쁨’, ‘행복’이라는 의미로, 신앙 안에서의 기쁨과 충만함을 상징합니다.

베아타(Beata, 3월 8일)
‘복된’, ‘행복한’이라는 뜻으로, 신앙의 축복을 상징합니다.

헤레니아(Herenia, 3월 8일)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평화’ 또는 ‘평화의 여신’을 의미합니다.

마리아 에우제니아(Mary Eugenia, 3월 10일)
‘고귀한’, ‘귀족의’라는 뜻으로, 신앙의 품위와 존귀함을 상징합니다.

아나스타시아(Anastasia, 3월 10일)
‘부활’이라는 의미로, 새로움과 희망의 상징입니다.

세라피나(Seraphina, 3월 12일)
‘불타는 자’, ‘천사’라는 의미로, 신앙의 열정과 순수함을 상징합니다.

유스티나(Justina, 3월 12일)
‘정의로운’, ‘공정한’이라는 뜻으로, 신앙의 정의와 올바름을 상징합니다.

모데스타(Modesta, 3월 13일)
‘겸손한’, ‘단정한’이라는 의미로, 겸손과 절제의 상징입니다.

마틸다(Matilda, 3월 14일)
‘힘 있는 전사’라는 뜻으로, 용기와 신앙의 힘을 상징합니다.

 



레아(Lea, 3월 22일)
‘지치지 않는’, ‘피로를 모르는’이라는 뜻으로, 헌신과 자비의 상징입니다.

리디아(Lydia, 3월 27일)
‘리디아 지방 출신’이라는 뜻이나, 신약에서는 신앙의 개방성과 헌신을 상징합니다.

테클라(Thecla, 3월 26일)
‘하느님의 영광’이라는 의미로, 신앙의 용기와 충실함을 상징합니다.

레베카(Rebecca, 3월 23일)
‘묶다’, ‘연결하다’라는 뜻으로, 신앙의 충실함과 헌신을 상징합니다.

루치아(Lucia, 3월 25일)
‘빛’을 뜻하는 이름으로, 신앙의 밝음과 희망을 상징합니다.

마르가리타(Margarita, 3월 25일)
‘진주’라는 뜻으로, 순수함과 소중함을 상징합니다.

오스부르가(Osburga, 3월 30일)
‘신의 힘’이라는 의미로, 신앙의 강인함을 상징합니다.

고르넬리아(Cornelia, 3월 31일)
‘뿔’이라는 뜻으로, 신앙의 힘과 보호를 상징합니다.

발비나(Balbina, 3월 31일)
‘강인한’, ‘튼튼한’이라는 의미로, 신앙의 견고함을 상징합니다.

요안나(Joanna, 3월 31일)
‘하느님은 은혜로우시다’라는 뜻으로, 신앙의 겸손과 은총을 상징합니다.

3월에는 순결, 용기, 평화, 헌신, 기쁨 등 다양한 신앙의 덕목을 상징하는 성인·성녀의 세례명이 많습니다. 세례명을 선택할 때는 성인의 삶과 이름의 의미를 묵상하며, 자신의 신앙 여정에 맞는 이름을 선택하면 더욱 뜻깊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