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주교 카톨릭

천주교 위령기도문

위령기도는 천주교에서 세상을 떠난 이들의 영혼이 하느님의 자비로 영원한 안식과 평화를 누리기를 기원하는 기도입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연도(煉禱)’라고도 불리며, 연옥 영혼을 위한 대표적 기도입니다.

 


목차

위령기도문
위령 기도는 언제 사용하는가
위령기도와 짧은 위령기도의 차이점
위령기도 절차
긴 위령기도문 장점

 

천주교 위령기도문

 

위령기도문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 아멘.

╋ 지극히 인자하신 아버지,
    저희는 그리스도를 믿으며 살다가 이 세상을 떠난 모든 이가
    마지막 날에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하리라 굳게 믿으며
    (아무)의 영혼을 아버지 손에 맡겨 드리나이다.
○ 이 주님의 종이 세상에 살아 있을 때에
    무수한 은혜를 베푸시어
    아버지의 사랑과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성인의 통공을 드러내 보이셨으니
    감사하나이다.
● 주님, 저희 기도를 자애로이 들으시어
    이 주님의 종에게 천국 낙원의 문을 열어 주시고
    남아 있는 저희는
    그리스도 안에서 모두 다시 만나
    주님과 형제들과 함께 영원한 행복을 누릴 때까지
    믿음의 말씀으로 서로 위로하며 살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시편 130(129)

○ 깊은 구렁 속에서
    주님, 당신께 부르짖나이다.
● 주님, 제 소리를 들어 주소서.
    애원하는 제 소리에 당신 귀를 기울이소서.
○ 주님, 당신이 죄악을 헤아리신다면
    주님, 감당할 자 누구이리까?
● 당신은 용서하는 분이시니
    사람들이 당신을 경외하리이다.
○ 나 주님께 바라네.
    내 영혼이 주님께 바라며
    그분 말씀에 희망을 두네.
● 파수꾼이 새벽을 기다리기보다
    내 영혼이 주님을 더 기다리네.
○ 파수꾼이 새벽을 기다리기보다
    이스라엘이 주님을 더 기다리네.
● 주님께는 자애가 있고
    풍요로운 구원이 있네.
○ 바로 그분이 이스라엘을
    모든 죄악에서 구원하시리라.

╋ 주님, (아무)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 영원한 빛을 그에게 비추소서.

시편 51(50), 3-21

○ 하느님, 당신 자애로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
    당신의 크신 자비로 저의 죄악을 없애 주소서.
● 제 허물을 말끔히 씻어 주시고
    제 잘못을 깨끗이 지워 주소서.
○ 제 죄악을 제가 알고 있사오며
    제 잘못이 언제나 제 앞에 있나이다.
● 당신께, 오로지 당신께 잘못을 저지르고
    당신 눈앞에서 악한 짓을 하였사오니
○ 판결을 내리셔도 당신은 의로우시고
    심판을 내리셔도 당신은 떳떳하시리이다.
● 보소서, 저는 죄 중에 태어났고
    허물 중에 제 어미가 저를 배었나이다.
○ 그러나 당신은 가슴속 진실을 기뻐하시고
    남몰래 저에게 지혜를 주시나이다.
● 우슬초로 정화수를 뿌리소서.
    제가 깨끗해지리이다.
○ 저를 씻어 주소서.
    눈보다 더 희어지리이다.
● 기쁨과 즐거움을 맛보게 하소서.
    당신이 부수신 뼈들이 춤을 추리이다.
○ 저의 허물에서 당신 얼굴을 돌리시고
    저의 모든 죄를 없애 주소서.
● 하느님, 제 마음을 깨끗이 만드시고
    제 안에 굳건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 당신 앞에서 저를 내치지 마시고
    당신의 거룩한 영을 제게서 거두지 마소서.
● 구원의 기쁨을 제게 돌려주시고
    순종의 영으로 저를 받쳐 주소서.
○ 저는 악인들에게 당신의 길을 가르치리니
    죄인들이 당신께 돌아오리이다.
● 하느님, 제 구원의 하느님, 죽음의 형벌에서 저를 구하소서.
    제 혀가 당신 의로움에 환호하오리다.
○ 주님, 제 입술을 열어 주소서.
    제 입이 당신을 찬양하오리다.
● 당신은 제사를 즐기지 않으시기에
    제가 번제를 드려도 반기지 않으시리이다.
○ 하느님께 드리는 제물은 부서진 영.
    부서지고 뉘우치는 마음을
    하느님, 당신은 업신여기지 않으시나이다.
● 당신의 자애로 시온을 돌보시어
    예루살렘의 성을 쌓아 주소서.
○ 그때에 당신이 의로운 희생 제사, 제물과 번제를 즐기시리이다.
    그때에 사람들이 수소를 당신 제단 위에 바치리이다.

╋ 주님, (아무)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 영원한 빛을 그에게 비추소서.
╋ 주님, 저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 또한 저희의 부르짖음이 주님께 이르게 하소서.

아래의 기도문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바친다.
1. 사망일부터 장례일까지
╋ 기도합시다.
    언제나 저희를 불쌍히 여기시어
    너그러이 용서하시는 하느님,
    (오늘) 이 세상을 떠난 (아무)를 기억하시어
    사탄의 손에 넘기지 마시고
    거룩한 천사들이 천상 낙원으로 데려가게 하소서.
    (아무)는 세상에서 주님을 바라고 믿었사오니
    지옥 벌을 면하고
    영원한 기쁨을 얻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2. 장례 후 탈상일까지
╋ 기도합시다.
    주님, 세상을 떠난 (아무)를 생각하며 비오니
    주님의 성인들과
    뽑힌 이들 반열에 들어
    주님의 영원한 기쁨을 누리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3. 기일에는
╋ 기도합시다.
    너그러우신 주 하느님,
    (아무)의 기일을 맞이하여 비오니
    그에게 영원한 안식과 평화를 주시고
    세상에 사는 저희는
    주님의 말씀을 따라 살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4. 설이나 한가위에는
╋ 기도합시다.
    주님, 세상을 떠난 조상들을 생각하며 비오니
    그들이 주님의 성인들과
    뽑힌 이들 반열에 들어
    주님의 영원한 기쁨을 누리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모두 무릎을 꿇고 '주님의 기도', '성모송'을 각각 한 번씩 하고 아래의 기도로 위령 기도를 마친다.

╋ 주님, (아무)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 영원한 빛을 그에게 비추소서.
╋ (아무)와 세상을 떠난 모든 이가
하느님의 자비로 평화의 안식을 얻게 하소서.
◎ 아멘.

 

위령기도는 언제 사용하는가

장례식 및 상가

고인이 세상을 떠난 직후부터 장례식, 하관 등 장례 전 과정에서 바칩니다. 신자들은 빈소를 방문해 고인을 위해 위령기도를 함께 드립니다.

기일(추모일), 위령성월

고인의 기일이나 11월 위령성월(죽은 이들을 위한 특별한 기도 기간)에 가족이나 공동체가 고인을 위해 바칩니다.

가정 제사(차례, 기일 등)

전통 제사 대신 가톨릭식으로 차례나 기일을 지낼 때 위령기도를 바칩니다.

일상적 추모

평소에도 세상을 떠난 가족, 친지, 모든 영혼을 위해 바칠 수 있습니다.

 

 

위령기도와 짧은 위령기도의 차이점

구분 긴 위령기도(연도) 짧은 위령기도
구성 시편(주로 130, 51편), 성인호칭기도, 찬미가, 주님의 기도, 다양한 기도문 등으로 구성. 20~40분 소요될 수 있음. 간결한 기도문, 시편 1~2편, 주님의 기도 등. 5분 내외로 마침.
사용 상황 장례식, 하관, 입관 등 공식적이고 엄숙한 자리, 공동체가 모여 장시간 기도할 때. 상가 방문, 기일, 가정에서 개인 혹은 소규모로 바칠 때.
의미/효과 영혼을 위한 간절한 전구, 공동체적 위로, 신앙교육적 역할5. 짧고 간결하지만 핵심적 의미 전달, 일상적 실천에 용이.

 

위령기도 절차

전형적 위령기도(연도)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작 인사 및 성호경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장례의 의미 설명 및 침묵
사제 또는 평신도가 간단히 의미를 설명하고 잠시 침묵.

시편 낭송
보통 시편 130편(“깊은 구렁 속에서...”)과 51편(“하느님, 저의 제사는 통회의 정신...”)을 노래 또는 낭송.

성인 호칭 기도
성인들의 전구를 청하는 기도.

찬미와 간구
예수님, 성모님, 성인들의 공로와 자비를 청함.

주님의 기도
모두 무릎을 꿇고 ‘주님의 기도’(주기도문)를 바침.

마침 기도
고인의 영원한 안식과 유가족을 위한 기도.

마무리
“주님, (고인)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영원한 빛을 그에게 비추소서.”

성수 뿌리기, 성가 부르기 등으로 마침.

짧은 위령기도는 위 절차 중 핵심 기도문만 간단히 바칩니다.

 

긴 위령기도문의 장점

깊은 신앙적 의미와 위로
시편, 성인호칭기도, 찬미가 등 다양한 기도문을 통해 죽음의 의미, 부활 신앙, 하느님의 자비를 깊이 묵상할 수 있습니다.

공동체적 연대감
여러 신자가 함께 노래하고 기도함으로써 유가족과 공동체에 큰 위로와 연대를 제공합니다.

영혼을 위한 전구의 힘
교회 전통에 따라, 긴 위령기도는 연옥 영혼을 위한 간절한 전구로 여겨집니다. 교리적으로도 영혼의 정화와 천국 입성을 위한 강력한 기도입니다.

신앙교육 및 선교적 효과
기도문에는 교리적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신자들에게 죽음과 부활, 하느님의 자비에 대한 신앙교육의 기회가 됩니다. 비신자에게도 가톨릭 신앙을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적 전통과 조화
한국 고유의 가락과 전통음악이 반영되어 있어, 슬픔을 품으면서도 부활의 희망을 노래하는 독특한 정서적 효과가 있습니다.

 

요약

위령기도는 세상을 떠난 이들의 영혼을 위해 장례, 기일, 위령성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긴 위령기도(연도)는 시편, 성인호칭기도 등으로 구성되어 공동체적이고 신앙적 의미가 깊으며, 짧은 위령기도는 간결하게 바칠 수 있습니다.

긴 위령기도는 영혼을 위한 전구, 공동체 위로, 신앙교육, 한국적 전통의 조화 등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절차는 시작 인사, 시편, 성인호칭기도, 찬미와 간구, 주님의 기도, 마침 기도 등으로 이뤄집니다.